아무리 고가의 의리의리한 웹사이트를 만들어도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없는 일이다. 웹비지니스를 하면서 더더욱 신경써야하는 관점은 "일단 들어온 고객" 보다는 "아직 들어오지 않은 고객"이다. 물론 전자가 중요하지 않다는건 아니지만 "아직 들어오지 않은 고객"을 "일단 들어오게"해야 무슨일이 되도 된다는 뜻이다.
웹사이트를 제작하여 런칭해본 적이 있다면 검색엔진에다 자기의 웹사이트를 넣어 본적 또한 분명 있을것이다. "왜 내사이트는 첫페이지 노출되지 않는거지?"라고 묻는다면 이유는 간단하다. 검색엔진 로봇에게 맞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검색엔진의 입맛에 맞도록 모든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심지어 디자인이 별로여도 선택의 여지가 없다. 당신의 웹이 수익을 창출하는것에 관련이 있다면 말이다.
검색엔진 로봇(보통 이것을 "로봇"이라고 하는대 마징가제트같은 로봇이라고 상상해도 좋지만 사실 눈에 보이지 않는 프로그램의 일종이다)의 눈길을 끌기위해 더럽고 치사해도 다 맞춰주고 모든것을 퍼다주는 목적은 오직 검색엔진 "상위노출"에 있다.
구글(미국내 70%이상), 네이버(국내 70%이상), 다음, MSN등 제각기 다 다른 프로그램으로 짜여진 검색엔진이지만 서로 서로의 보완을 취득하여 공통적인 부분도 많이 있다. 당연히 시장 점유율 1등사의 검색엔진 성향만 맞춘다고 해도 게임의 승산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전세계 베스트 10 웹사이트 2010년 상반기
전세계 베스트 10사이트 2010년 상반기
다음 순위는 Alexa(The Web Information Company)에서 조사된 것이다.
1. google.com
전세계 최강의 검색엔진이다. 굳이 다른 설명이 필요없다..
2. facebook.com
미국 개인간 교류 사이트다. 사람찾기가 국내 싸이월드 보다 쉽고 여러모로 친목 네트워크 사이트중 가장 쉽고 편리한것 같다.
3. youtube.com
동영상 전문 커뮤니티, 음악, 유머, 엽기 등 분야별 동영상이 넘처난다.
4. yahoo.com
구글과 마찬가지로 포털 검색이 메인이지만, 뉴스, 메일, 블로그, 꾸러기,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5. live.com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의 검색엔진.
6. wikipedia.org
온라인 백과사전 중 가장 인기가 있는 이유는 구글에서 팍팍 밀어줌이 아닐까.. 구글 검색시 제일 상단 부분에서 키워드에 대한 뜻풀이등 설명을 해준다.
7. blogger.com
블로그 중 전세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유저가 가장 많다. 물론 서비스 전체가 공짜인것이 큰 이유일 것이다.
8. baidu.com
중국사이트인데 전세계 음악(Music) 검색엔지이고 공짜 MP3등 비디오를 제공한다고 한다. 특별히 음원파일등의 제제가 없어서 그런가 공짜라는데..
9. msn.com
다이얼접속과 다양한 콘텐츠 제공자라는데 Yahoo같은 검색엔진 위주의 사이트인것 같다.
10. qq.com
중국 포털 사이트라는데 2개의 알파벳으로도 주소등록을 할 수 있다는것에 놀랐다. 보통 3개이상인데 말이다. 전세계적으로 트래픽이 오고가는 사이트들과 비교하여 10위인 이사이트(baidu와 더불어)는 중국사람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트래픽율을 보유하고 있다. 역시 중국인의 머리수는 엄청나구나.
1~10위까지 2010년 상반기 전세계 베스트 웹사이트를 보았는데 한결 같이 Unique하지만 짧고 밝음 하기 쉽게 지었다. 숫자가 들어가지도 않았고 2개이상의 단어들은 1개로 통합되어 사용되고 있다(Youtube,Facebook 처럼). 내용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Naming 부분 또한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다음 순위는 Alexa(The Web Information Company)에서 조사된 것이다.
1. google.com
전세계 최강의 검색엔진이다. 굳이 다른 설명이 필요없다..
2. facebook.com
미국 개인간 교류 사이트다. 사람찾기가 국내 싸이월드 보다 쉽고 여러모로 친목 네트워크 사이트중 가장 쉽고 편리한것 같다.
3. youtube.com
동영상 전문 커뮤니티, 음악, 유머, 엽기 등 분야별 동영상이 넘처난다.
4. yahoo.com
구글과 마찬가지로 포털 검색이 메인이지만, 뉴스, 메일, 블로그, 꾸러기,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5. live.com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의 검색엔진.
6. wikipedia.org
온라인 백과사전 중 가장 인기가 있는 이유는 구글에서 팍팍 밀어줌이 아닐까.. 구글 검색시 제일 상단 부분에서 키워드에 대한 뜻풀이등 설명을 해준다.
7. blogger.com
블로그 중 전세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유저가 가장 많다. 물론 서비스 전체가 공짜인것이 큰 이유일 것이다.
8. baidu.com
중국사이트인데 전세계 음악(Music) 검색엔지이고 공짜 MP3등 비디오를 제공한다고 한다. 특별히 음원파일등의 제제가 없어서 그런가 공짜라는데..
9. msn.com
다이얼접속과 다양한 콘텐츠 제공자라는데 Yahoo같은 검색엔진 위주의 사이트인것 같다.
10. qq.com
중국 포털 사이트라는데 2개의 알파벳으로도 주소등록을 할 수 있다는것에 놀랐다. 보통 3개이상인데 말이다. 전세계적으로 트래픽이 오고가는 사이트들과 비교하여 10위인 이사이트(baidu와 더불어)는 중국사람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트래픽율을 보유하고 있다. 역시 중국인의 머리수는 엄청나구나.
1~10위까지 2010년 상반기 전세계 베스트 웹사이트를 보았는데 한결 같이 Unique하지만 짧고 밝음 하기 쉽게 지었다. 숫자가 들어가지도 않았고 2개이상의 단어들은 1개로 통합되어 사용되고 있다(Youtube,Facebook 처럼). 내용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Naming 부분 또한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HTML] 웹사이트 만들기 - 메모장으로 웹사이트 만들기 01장
당신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보고 있는 수많은 웹사이트들은 대부분 수많은 웹언어(코드)들로 이루어저있다. 그중 HTML 은 모든 웹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언어이다. 쉽게 말해 다른언어 없이 HTML 로만 이루어진 웹사이트는 존재 가능하지만 HTML 이 없는 웹사이트는 하나도 없다.
일단 시작해 보자.
1. [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메모장]을 연다.
2. 아래 내용을 그대로 적어보자.
4. 웹사이트(HTML파일)는 기본적으로
5. 브라우저 동작에 대한 중요한 명령들과 추가적인 정보를 담는 곳은
6. 홈페이지에서 보여질 대부분 모든 내용은
일단 시작해 보자.
1. [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메모장]을 연다.
2. 아래 내용을 그대로 적어보자.
3. 위의 언어(코드)를 [메모장]에 똑같이 적고 저장한다. 저장할 때 메모장 상단에 [File]-[Save As]를 누른다. 저장파일이름은 편한대로 선택하고 저장할때 마지막 세자리수의 확장자를 .txt 에서 .html로 바꿔서 저장해야 한다(.htm 으로 저장해도 상관없다).
4. 웹사이트(HTML파일)는 기본적으로
로 끝난다. 한페이지의 웹사이트는 이렇게 HTML의 열고 닫음안에 있는 모든 언어를 포함한다.로 시작해서
5. 브라우저 동작에 대한 중요한 명령들과 추가적인 정보를 담는 곳은
사이에 작성하게 되는데 실질적인 내용이 노출되는곳이 아니므로 일단 넘어가자.와
6. 홈페이지에서 보여질 대부분 모든 내용은
사이에 작성되는 글들이다. 그 사이에 "반갑습니다"를 적어보고 저장해 보자. 저장 후 그파일을 더블클릭으로 열면 오직 "반갑습니다"의 글만 보여질것이다.와
[HTML] 웹사이트 만들기 - 세번째필요요소_HTML 파일
여기서 얘기하는 세번째 필요요소 HTML 파일이란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내용 자체이다.
보기에 화려해보이는 웹사이트, 마우스를 갖다대면 메뉴가 생겨나는 이러한 엑티브한 웹사이트들도 수많은 꺠알같은 웹언어(코드)로 이루어졌다. HTML의 뜻이 바로 Hyper Text Markup Language 이다.
그 HTML 이란 언어를 한장의 문서파일로 작성해보자. 특별한 프로그램 없이 지금 당신의 컴퓨터에서 시작할 수 있다. "Notepad(메모장)" 라는 프로그램을 들어본적 있는가?
"시작"-> "모든프로그램"-> "보조프로그램"-> "메모장"에 있다
>> 메모장으로 웹사이트 만들기 01장 바로가기
보기에 화려해보이는 웹사이트, 마우스를 갖다대면 메뉴가 생겨나는 이러한 엑티브한 웹사이트들도 수많은 꺠알같은 웹언어(코드)로 이루어졌다. HTML의 뜻이 바로 Hyper Text Markup Language 이다.
그 HTML 이란 언어를 한장의 문서파일로 작성해보자. 특별한 프로그램 없이 지금 당신의 컴퓨터에서 시작할 수 있다. "Notepad(메모장)" 라는 프로그램을 들어본적 있는가?
"시작"-> "모든프로그램"-> "보조프로그램"-> "메모장"에 있다
>> 메모장으로 웹사이트 만들기 01장 바로가기
[HTML] 웹사이트 만들기 - 두번째필요요소_호스팅(Web Hosting)
당신의 웹사이트가 24시간 어느시간때에도 접속가능하게 하려면 "웹 호스팅" 이란것이 필요하다. 만약 당신이 이름있는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다고 가장해보자. 언제 어느시간 때에 접속할지 모르는 고객들을 위해서 그리고 그 많은 고객들이 한꺼번에 접속했을때 얼마나 안전하게 웹이 돌아가냐는 전적으로 호스팅에 달려있다.
웹사이트가 제작되고 도메인 주소를 구입했다면 이제 호스팅을 알아보자.
사실 웹호스팅은 웹도메인을 구입한 업체에서 같이 구매하는것이 제일 간편하다.
국내의 Whois.co.kr 이나 외국의 Godaddy.com 같이 도메인 등록기관업체에서 막강한 호스팅서비스를 제공하고있다. 실제 세계 최강의 검색엔진 구글(Google.com)에서 Domain 으로 혹은 Hosting 으로 검색해도 상위 1~2위에 Godaddy.com 이 올라와있다. 한곳에서 원하는 도메인 주소를 등록했다면 그곳에서 호스팅까지 이용하면 쉽다.
호스팅 서비스도 참 여러가지로 저장공간의 크기, Traffic (트래픽: 해당사이트 접속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파일용량 트래픽속도)등을 선택해야 하는데 웹사이트라는것을 이제 막 배우시는 초보에겐 가장 저렴한 호스팅 서비스를 선택해도 충분하다.
웹사이트가 제작되고 도메인 주소를 구입했다면 이제 호스팅을 알아보자.
사실 웹호스팅은 웹도메인을 구입한 업체에서 같이 구매하는것이 제일 간편하다.
국내의 Whois.co.kr 이나 외국의 Godaddy.com 같이 도메인 등록기관업체에서 막강한 호스팅서비스를 제공하고있다. 실제 세계 최강의 검색엔진 구글(Google.com)에서 Domain 으로 혹은 Hosting 으로 검색해도 상위 1~2위에 Godaddy.com 이 올라와있다. 한곳에서 원하는 도메인 주소를 등록했다면 그곳에서 호스팅까지 이용하면 쉽다.
호스팅 서비스도 참 여러가지로 저장공간의 크기, Traffic (트래픽: 해당사이트 접속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파일용량 트래픽속도)등을 선택해야 하는데 웹사이트라는것을 이제 막 배우시는 초보에겐 가장 저렴한 호스팅 서비스를 선택해도 충분하다.
[HTML] 웹사이트 만들기 - 첫번째필요요소_도메인주소
1번인 도메인 주소(웹사이트 주소)는 중복된 주소를 구매할 수 없다. 예를 들어 http://www.iiiji.com/ 이라는 주소는 구매할 수 없다. 도메인 주소는 전화번호와 같다. 전화기 마다 고유의 번호가 있듯이 웹사이트 주소도 하나의 고유의 주소로 접속된다.
주소 끝에 .com (닷 컴)이라는 문구를 볼 수 있는데 웹사이트 주소가 무조건 .com 으로 끝나는것은 아니다. .net(닷 넷), .info (닷 인포), .org (닷 올그) 등 구매자가 선택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닷컴이 절때적인 점유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com (닷컴)을 선호한다. 큰 기업에서는 자사의 이름이 들어간 닷컴을 구매하기 위해 몇천달러~몇만달러를 지불하기도 할만큼 "닷컴"이 들어가지 않은 기업의 웹사이트는 왠지 전문성과 신뢰감이 떨어저 보이기도 한다.
전화번호도 쉬울수록 상대방에게 알려주기 좋고 기억하기 쉽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접촉하는 현시대에는 기억하기 쉽고 한번들어도 머리속에 남는 주소가 많이 필요할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이블로그의 주소도 iiiji 라고 지었다. 별로 안쉽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지은이는 iiiji.com(현재준비중)의 도메인을 소유하고 있어서 블로그도 일관성을 위해 그렇게 지었다. iiiji를 자판으로 두손가락만 5번 움직이면 되고 "쉽다"의 의미인 easy와 비슷한 발음으로 머리에 남을 것이라 생각했다. 왜 그렇다면 Easy.com 또는 iji.com 으로 하지 않았는가? 이미 누군가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메인 공인 등록기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 국내에서는 후이즈 - Whois.co.kr (국내에서 가장 저렴하고 평이좋다)
- 전세계적으로는 Domain.com 또는 Godaddy.com 이 유명하다.
(개인적으로는 Godaddy.com 가 여러 사용기능 및 저렴한 가격으로 강추천한다)
주소 끝에 .com (닷 컴)이라는 문구를 볼 수 있는데 웹사이트 주소가 무조건 .com 으로 끝나는것은 아니다. .net(닷 넷), .info (닷 인포), .org (닷 올그) 등 구매자가 선택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닷컴이 절때적인 점유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com (닷컴)을 선호한다. 큰 기업에서는 자사의 이름이 들어간 닷컴을 구매하기 위해 몇천달러~몇만달러를 지불하기도 할만큼 "닷컴"이 들어가지 않은 기업의 웹사이트는 왠지 전문성과 신뢰감이 떨어저 보이기도 한다.
전화번호도 쉬울수록 상대방에게 알려주기 좋고 기억하기 쉽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접촉하는 현시대에는 기억하기 쉽고 한번들어도 머리속에 남는 주소가 많이 필요할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이블로그의 주소도 iiiji 라고 지었다. 별로 안쉽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지은이는 iiiji.com(현재준비중)의 도메인을 소유하고 있어서 블로그도 일관성을 위해 그렇게 지었다. iiiji를 자판으로 두손가락만 5번 움직이면 되고 "쉽다"의 의미인 easy와 비슷한 발음으로 머리에 남을 것이라 생각했다. 왜 그렇다면 Easy.com 또는 iji.com 으로 하지 않았는가? 이미 누군가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메인 공인 등록기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 국내에서는 후이즈 - Whois.co.kr (국내에서 가장 저렴하고 평이좋다)
- 전세계적으로는 Domain.com 또는 Godaddy.com 이 유명하다.
(개인적으로는 Godaddy.com 가 여러 사용기능 및 저렴한 가격으로 강추천한다)
[HTML] 웹사이트 만들기 - 웹사이트 제작의 필요한 것 3가지
웹사이트를 만드려면 무엇이 필요하지? 어떤것부터 계획을 해야지?... 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기본적으로 웹사이트 개발의 목적과 용도의 따라 방향의 달라지겠지만 어쨋든 만들겠다고 마음을 먹었다면 일단 만들어 보길 권장한다. 일단 뛰어들면 아이디어가 생긴다.
웹사이트가 구동이 되려면 기본적으로 3가지가 필요하다.
1. Domain (도메인) - 웹사이트 주소
2. Hosting (호스팅) - 웹사이트 파일들이 거주할 곳
3. HTML 파일 - 웹사이트 내용이 기록된 파일
인터넷 사용자가 주소창에 혹은 네이버나 구글같은 검색엔진에 어떠한 키워드나 주소를 넣고 당신의 A.com 이라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하려면 위에 3가지는 기본적으로 있어야 한다. 일단 먼저 3번인 Html 파일을 제작하고 그다음 1번과 2번을 시행해도 늦지 않으니 먼저 보여질 HTML파일로 시작하자. (1번과 2번은 기본적으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신중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웹사이트가 구동이 되려면 기본적으로 3가지가 필요하다.
1. Domain (도메인) - 웹사이트 주소
2. Hosting (호스팅) - 웹사이트 파일들이 거주할 곳
3. HTML 파일 - 웹사이트 내용이 기록된 파일
인터넷 사용자가 주소창에 혹은 네이버나 구글같은 검색엔진에 어떠한 키워드나 주소를 넣고 당신의 A.com 이라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하려면 위에 3가지는 기본적으로 있어야 한다. 일단 먼저 3번인 Html 파일을 제작하고 그다음 1번과 2번을 시행해도 늦지 않으니 먼저 보여질 HTML파일로 시작하자. (1번과 2번은 기본적으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신중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HTML] 웹사이트 만들기 - HTML 코드 이해의 중요성
누구나 한번쯤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들어 보고 싶다고 생각해본 적 있을것이다. 요즘은 쉽게 대행해주는 서비스도 많이 있고 www.Godaddy.com 같이 큰 호스팅업체들도 웹사이트 만들기 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있다. Dreamweaver를 사용해서 어느정도 그림과 코드를 보며 작업할 수도 있고 방법은 많이 있는 편이다. 그러나 어쨋든지 기본적으로 HTML 코드를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섬세한 작업을 원할시 필수 적이라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웹사이트를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은 마우스 클릭으로 HTML 코드를 대신 입력해 주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통해 만드는 웹사이트는 매우 제한 적이다. 몇번의 마우스 클릭과 드레그 함으로 쉽게 페이지를 제작하지만 해당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몇가지 기능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넣을수 없다. 대부분 모든 웹사이트 개발 프로그램은 "HTML 코드 편집기"같이 코드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란이 있다. 코드에 익숙한 사람은 문제가 생겼을때 해당 프로그램없이 대처 능력을 같게 된다.
이메일을 보낼때도 게시판에 글을 올릴때도 이 "HTML 코드 편집기"를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유용할 것이다.
쉽게 말해 웹사이트를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은 마우스 클릭으로 HTML 코드를 대신 입력해 주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통해 만드는 웹사이트는 매우 제한 적이다. 몇번의 마우스 클릭과 드레그 함으로 쉽게 페이지를 제작하지만 해당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몇가지 기능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넣을수 없다. 대부분 모든 웹사이트 개발 프로그램은 "HTML 코드 편집기"같이 코드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란이 있다. 코드에 익숙한 사람은 문제가 생겼을때 해당 프로그램없이 대처 능력을 같게 된다.
이메일을 보낼때도 게시판에 글을 올릴때도 이 "HTML 코드 편집기"를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유용할 것이다.
The Inner Life of the Cell (We are definitely miracles!)
Praise the Lord Jesus Christ!
Movie by Harvard University HQ
Movie by Harvard University HQ
2010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해상도 통계 리스트
W3스쿨즈 (W3Schools) 조사결과 2010년 1월부로 전세계 인터넷 사용자들의 디스플레이 모니터 해상도 1024x768 사용율이 76% 이상이라고 나왔다. 리스트 목록으로 10간의 디스플레이 해상도 통계를 보고하였다.
다음은 W3스쿨즈에서 보고한 2010년 디스플레이 모니터 해상도 1024x768 이상 해상도 통계자료이다.
다음은 W3스쿨즈에서 보고한 10년간의 디스플레이 모니터 해상도 통계 리스트이다.
웹개발자들은 이통계를 고려하여 디자인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W3스쿨즈에서 보고한 2010년 디스플레이 모니터 해상도 1024x768 이상 해상도 통계자료이다.
2010년 1월 | ||
---|---|---|
모니터 해상도 | 점유율(%) | |
1280x1024 | 18.2 % | |
1280x800 | 17.3 % | |
1440x900 | 10.5 % | |
1680x1050 | 10.0 % | |
1920x1200 | 4.6 % | |
1366x768 | 3.6 % | |
1920x1080 | 2.3 % | |
1152x864 | 2.1 % | |
1600x1200 | 1.4 % | |
1280x768 | 1.2 % | |
그외 | 4.8 % |
다음은 W3스쿨즈에서 보고한 10년간의 디스플레이 모니터 해상도 통계 리스트이다.
2000년 ~2010년 모니터 해상도 점유율 | |||||
---|---|---|---|---|---|
날짜 | Higher | 1024x768 | 800x600 | 640x480 | Unknown |
2010년 1월 | 76% | 20% | 1% | 0% | 3% |
2009년 1월 | 57% | 36% | 4% | 0% | 3% |
2008년 1월 | 38% | 48% | 8% | 0% | 6% |
2007년 1월 | 26% | 54% | 14% | 0% | 6% |
2006년 1월 | 17% | 57% | 20% | 0% | 6% |
2005년 1월 | 12% | 53% | 30% | 0% | 5% |
2004년 1월 | 10% | 47% | 37% | 1% | 5% |
2003년 1월 | 6% | 40% | 47% | 2% | 5% |
2002년 1월 | 6% | 34% | 52% | 3% | 5% |
2001년 1월 | 5% | 29% | 55% | 6% | 5% |
2000년 1월 | 4% | 25% | 56% | 11% | 4% |
웹개발자들은 이통계를 고려하여 디자인해야 할 것이다.
Subscribe to:
Comments (Atom)